로고

재단법인 송암스페이스센터
  • 커뮤니티
  • 포토갤러리
  • 커뮤니티

    관련 사진자료를 올려 놓았습니다.

    포토갤러리

    관련 사진자료를 올려 놓았습니다.

    성운에 대하여 알아보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932회   작성일Date 24-07-10 15:18

    본문

    우주에는 별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천체들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성운을 소개합니다.


    성운

     성운은 한자로 星雲, 즉 별 구름입니다. 우주에 있는 구름인 만큼 구성성분은 여러 먼지, 수소 등 성간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런 물질들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기 때문에, 다른 여러 방법으로 빛을 내거나 빛을 가리면서 성운의 모습을 만듭니다.

    비온후 하늘의 구름이나, 가을 하늘의 구름이 아름답듯이 성운도 저마다의 모습으로 아름다운 자태를 뽐냅니다.

    성운은 여러 종류로 나뉘는데, 그중 확산성운, 행성상 성운, 초신성잔해 등으로 나뉩니다.


    1. 확산성운

     확산성운은 일반적인 성운을 의미합니다. 옅은 구름처럼 명확한 경계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확산성운은 또 발광성운과 반사성운, 암흑성운으로 구분합니다. 


    a. 발광성운

     발광성운은 쉽게 이야기해서 별로 인해 성간물질이 가열되어 빛을 내는 성운입니다.

    유명한 성운으로는 오리온자리 성운이 있습니다.


    00ecf78aef5ea9858fad2b0f04e8e3df_1720261530_8101.jpg

    오리온자리에 있는 오리온 대성운(메시에 42)입니다.

    겨울철에 볼수 있는 유명한 성운이며, 맨눈으로도 보이는 성운입니다. 초록색과 붉은색의 성운이 아름답게 펼쳐집니다. 

    초록색과 붉은색은 별에 의해 가열된 성간물질이 내뿜는 빛입니다. 일반적으로 발광성운은 붉은 색으로 보입니다.


    57d9e2b52a7fe6bf351eeb5143beccb0_1720264212_0429.jpg
    오메가 성운으로 불리는 메시에 17 입니다. 선명한 붉은 성운이 보입니다.


    발광성운의 경우, 그 성운 안에서 별들이 태어나는 경우가 많아서 별들의 요람이라고도 불립니다.


    b. 반사성운

     반사성운은 별이 내뿜은 빛을 성간물질이 반사시켜 빛나는 성운입니다. 일반적으로 푸른빛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명한 성운으로는 삼렬 성운(메시에 20)이 있습니다. 


    57d9e2b52a7fe6bf351eeb5143beccb0_1720264268_5101.jpg
    삼렬 성운으로 부르는 메시에 20 입니다. 붉은 색 동그란 발광 성운의 왼쪽 위에 푸르스름한 성운이 보이는데 그 성운이 반사성운입니다.

    발광성운과 같이 별빛을 이용해 빛나지만, 성간물질이 가열되어 빛나는 발광성운과 다르게 반사성운은 별빛을 반사해서 빛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어두운 성운입니다.

    성간물질 속 먼지는 푸른빛을 더 잘 반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반사성운은 푸른색으로 보입니다.


    c. 암흑성운

     암흑성운은 별빛이나 성운에서 나오는 빛을 성간물질이 막아서 어둡게 보이는 성운입니다.

    대표적인 성운으로는 말머리성운, 수리성운(메시에 16) 등이 있습니다.

    위에 보이는 메시에 20이 왜 삼렬성운으로 불릴까요?

    그 이유는 붉고 동그란 성운을 가운데 검은 줄이 삼등분했다고 하여 삼렬 성운이라고 부릅니다.

    이때 성운을 나누는 검은 줄이 바로 발광 성운을 가리는 암흑 성운입니다.


    b0cb05a322cbae325bfb9c50d2a5d77a_1720592257_5727.jpg

    수리성운이라고 불리는 메시에 16입니다. 잘 안보일 수도 있으나 수리 성운 가운데 검은 무언가가 보이실것 입니다. 이것이 창조의 기둥이라고 불리는 암흑성운입니다.

    이렇듯 암흑성운은 어둡기 때문에 주변에 아무것도 없이 성운 그 자체를 보기는 힘듭니다. 대신 밝은 성운을 가리는 형식으로 성운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2. 행성상 성운

    행성상 성운은 행성이 만드는 성운이라고 오해를 하실 수 있는데요, 실제로는 별이 만들어낸 성운입니다.

    태양같은 적당한 크기의 별의 수명이 다하면, 사방으로 수소나 헬륨 등 성간물질을 사방으로 내보냅니다.

    이때 나온 성간물질이 만드는 게 행성상 성운입니다. 유명한 행성상 성운으로는 고리성운(메시에 57), 아령성운(메시에 27)등이 있습니다.


    b0cb05a322cbae325bfb9c50d2a5d77a_1720592014_6601.JPG

    고리성운으로 유명한 메시에 57입니다. 색깔이 선명하게 보이시죠?

    중심별에서 성간물질을 내뿜는 만큼, 행성상 성운 중심에서는 죽은 별(대부분 백색왜성)이 존재합니다. 성운에 따라 보이는 경우도 있고,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퍼져나가는 만큼 가까운 미래에는 없어질 성운입니다.(물론 별 기준으로 가까운 미래입니다.)


    b0cb05a322cbae325bfb9c50d2a5d77a_1720592038_2306.jpg

    아령성운으로 유명한 메시에 27입니다. 흐려서 잘 안보일 수도 있지만 가운데 하얀별을 기준으로 뻗어가는 초록색의 성운이 보입니다.


    3. 초신성 잔해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성운은 초신성 폭발이후 생겨난 별의 잔해입니다.

    행성상 성운은 상대적으로 작은 별이 만든 성운이라면, 초신성 잔해는 크고 무거운 별이 죽을 때 격렬한 폭발을 일으키며 만든 성운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유명한 초신성 잔해는 게 성운(메시에 1)이 있습니다.


    b0cb05a322cbae325bfb9c50d2a5d77a_1720592055_5334.jpg

    게성운으로 유명한 메시에 1입니다. 겨울철 황소자리에 있는 성운입니다.


    이렇듯 우주에는 별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구름, 성운도 같이 보실 수 있습니다.

    몇몇 성운은 송암스페이스센터 천문대에서 망원경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2건 2 페이지
    • 17
      8월 12일 페르세우스 유성우 입니다. 매년 8월에는, 스위프트-터틀 혜성이 지나가면서 남긴 흔적들이 지구로 떨어지면서 유성이 됩니다. 특히 8월 12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4-08-14 조회 Hit 352
    • 16
      제14회 송암 영어우주과학캠프가 시작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암스페이스센터입니다.오늘(7/28)부터 2박3일간 1기 캠프와 2기 (8/1~8/3)가 진행됩니다.NASA..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4-07-28 조회 Hit 581
    • 열람중
      성운에 대하여 알아보기 우주에는 별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천체들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그중에서 성운을 소개합니다.성운 성운은 한자로 星雲..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4-07-10 조회 Hit 933
    • 14
      산개성단과 구상성단 성단(星團)이라 함은 수많은 별들이 모여있는 천체입니다.그리고 별들이 모여 있는 모양에 따라 두가지 성단으로 구분합니다.하..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4-07-06 조회 Hit 412
    • 13
      송암스페이스센터 천문대에서 촬영한 메시에3(Messier 3) 입니다. 북쪽하늘 큰곰자리와 목동자리 사이에는 사냥개자리라는 작은 별자리가 있습니다.샤를 메시에는 1764년 5월 3일 목동자리와 ..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4-06-05 조회 Hit 262
    • 12
      송암스페이스센터 천문대의 여름철 대삼각형입니다. 어느덧 여름이 다가왔습니다. 서서히 여름철에 볼 수 있는 반가운 별들이 떠오릅니다. 여름철이 되면 해질녘부터 해뜰..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4-06-04 조회 Hit 376
    • 11
      송암스페이스센터 천문대의 북쪽하늘입니다. 송암스페이스 센터의 북쪽하늘입니다. 그렇다면 북쪽을 알려주는 별인 북극성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별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4-06-04 조회 Hit 231
    • 10
      송암스페이스센터 천문대에서의 봄철하늘입니다. 송암스페이스센터 하늘정원에서 찍은 북서쪽의 하늘입니다. 북극성이 보이나요?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때 먼저 찾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4-06-04 조회 Hit 299
    • 9
      태양 홍염과 흑점 (05.10) 천문대에서 근무중인 최필재 선생님이 24.05.10 촬영한 태양 홍염과 흑점입니다.  ..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4-05-11 조회 Hit 327
    • 8
      2024년 어린이날 행사모습 5월 어린이날을 맞아  아이들이 우주와 과학에 대하여 쉽고 신나게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행사와..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Date 2024-05-05 조회 Hit 374
    • 7
      매화와 벚꽃 핀 센터, 봄이 왔습니다. 송암스페이스센터는 수도권과 가까이 위치하고 있지만 봄은 일주일 늦게 찾아오는 것 같아요!..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Date 2024-04-06 조회 Hit 439
    • 6
      오늘의 하늘(1/13) 하늘은 맑고 관측하기 좋은날 초저녁 천문대에서 달을 찾아봅니다. 천문대에서 근무중인 최필재 선생님이 망원경으로 방금 찍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4-01-13 조회 Hit 486
    • 5
      '겨울 왕국'으로 변한 송암~ '겨울 왕국'으로 변한 송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3-12-30 조회 Hit 483
    • 4
      찾아가는 천문대(출장) 찾아가는 천문대(출강)청량고등학교로 방문하여 천문 프로그램과 천체관측을 진행하였으며 구름이 있었지만 목성,달을 관측하고 있..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3-11-23 조회 Hit 419
    • 3
      플라네타리움 (Planetarium) 플라네타리움(Planetarium)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Date 2023-11-14 조회 Hit 810

    검색